본문 바로가기

2021-08

(4)
문제해결 관점의 확장 오랜만에 친구를 만났다. 근황을 나누다가 일하는 스타일이 다른 2명의 직장 동료와 어려움을 겪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오랜 기간 여러 차례 문제를 말했으나 소용이 없었고 결국 상급자로서 강하게 "이렇게 할 거면 하지 말라"라고 이야기했다. 이 말을 들은 한 명은 친구의 방식을 따르게 되고 한 명은 그만두게 되었다고 한다. 이야기를 듣고 집에 오는 길에 이 경험이 친구에게 어떤 교훈을 남겼을지 생각했다. '역시 사람은 바꿔쓰는게 아니야'라는 마음 아니었을까. 이후로도 문제가 있을 때 (듣는 사람의 기분을 고려하기보다) 최대한 분명하고 직접적으로 이야기한다고 했다. 안타까운 일이다. 나도 예전에 비슷한 생각을 할 때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더 나은 방법이 있었겠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결과가 같더라도 서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 선한 의도의 함정 많은 사람들이 타인을 돕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면 그 결과도 좋으리라 기대한다. 진심은 통한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친한 친구가 건강이 나빠져서 살을 빼야 할까 고민이 된다며 상담을 요청했다고 해보자. 그리고 내가 아래의 보기 중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친구가 실제로 다이어트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지 생각해보라. 1. 상대방이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득시키는 것 2. 변화의 이점을 주장하는 것 3. 상대방에게 변화의 방법을 말해주는 것 4. 변화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에 대해 경고하는 것 정답은 4개 행동 모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담 분야의 연구에 의하면 변화를 지지하는 상담자의 태도가 오히려 내담자의 저항을 증가시켜 결국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비폭력 대화에서 말하는 '연민'의 뜻 비폭력 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NVC)라는 대화 방법이 있다. '비폭력'이라는 말은 간디가 사용한 것과 같은 뜻으로 우리 마음 안에서 폭력이 가라앉고 자연스럽게 본성인 연민으로 돌아간 상태를 가리킨다. 우리는 전혀 '폭력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말할 때에도 종종 본의 아니게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마음을 아프게 한다. NVC는 견디기 힘든 상황에서도 인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대화의 방법으로, 어떤 곳에서는 '연민의 대화(Compassionate Communica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1] 최근 비폭력 대화 연습 모임을 시작한 지 한 달 정도 되었다. 모임 중 '연민'이라는 말을 평소에 사용하지 않아서 어떤 뜻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
안다고 말할 수 없는 어려움 모르는 것을 아는 체하기는 쉽지만 아는 것을 모르는 체하기는 참 어렵다. 정확히 표현하면 아는 것을 바로 말하지 않는 것이 어렵다. 다른 사람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에서 출발하지만 금세 남들보다 우위에 서고, 감사의 말을 듣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사람들의 변화에 대한 나의 수고를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러나 내 목표가 다른 사람들의 변화라면 정답을 말해줘서 문제를 짠! 하고 해결하는 방법은 결코 좋은 전략이 아니다. 그렇게 해서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기 어렵다. 애석하게도 성공적인 변화를 만들어낼수록 나의 공로는 가려지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더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는 시스템을 만들면서 누군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는 일이 발생했다고 해보자. 그 사람은 '운이 좋아서, 오늘따..